모베터 블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베터 블루스는 1990년 개봉한 스파이크 리 감독의 영화로, 덴젤 워싱턴이 재즈 트럼펫 연주자 블리크 길리엄 역을 맡아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영화는 1969년 뉴욕 브루클린을 배경으로 블리크의 음악적 성공과 갈등, 그리고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를 그린다. 블리크는 밴드의 매니저 자이언트, 여자친구 인디고, 클라크 등과의 관계 속에서 도박, 배신, 음악적 고뇌를 겪는다. 영화는 재즈 음악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반유대주의적 묘사로 논란을 빚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파이크 리 감독 영화 - 블랙클랜스맨
 블랙클랜스맨은 1972년 콜로라도스프링스 경찰국 흑인 형사가 KKK에 잠입하여 수사를 펼치는 실화를 바탕으로 인종차별과 혐오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영화이다.
- 스파이크 리 감독 영화 - 히 갓 게임
 《히 갓 게임》은 1998년 영화로, 미국 최고의 고교 농구 선수 지저스 셔틀스워스가 아버지와의 갈등, 대학 진학, 프로 진출을 겪으며 아버지와의 관계를 조명한다.
- 재즈 영화 - 스윙걸즈
 야구 응원 도시락 배달 사건으로 결성된 여고생 밴드 스윙걸즈는 음악 경험이 없는 학생들이 스윙 재즈에 도전하며 성장하고 음악 축제 무대에 서는 과정을 유쾌하게 그린 2004년 일본 영화이다.
- 재즈 영화 - 라라랜드
 《라라랜드》는 재즈 피아니스트 세바스찬과 배우 지망생 미아가 만나 꿈과 사랑을 나누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헤어지는 과정을 그린 2016년 미국 로맨틱 뮤지컬 영화로, 5년 후 재회하는 장면은 평행세계를 암시하는 여운을 남긴다.
- 브루클린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브룩클린의 뱀파이어
 1995년 웨스 크레이븐이 감독하고 에디 머피가 주연을 맡은 영화 《브룩클린의 뱀파이어》는 뉴욕 브루클린을 배경으로 마지막 남은 흡혈귀가 반흡혈귀 여성을 찾아 종족을 번성시키려는 공포 코미디 영화이다.
- 브루클린을 배경으로 한 영화 - 퍼펙트 머더
 퍼펙트 머더는 1998년에 개봉한 미국의 스릴러 영화로, 부유한 금융가가 아내의 불륜을 알고 살해 계획을 세우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며, 알프레드 히치콕의 영화를 재해석했다.
| 모베터 블루스 - [영화]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감독 | 스파이크 리 | 
| 각본 | 스파이크 리 | 
| 제작 | 스파이크 리 | 
| 음악 | 빌 리 | 
| 촬영 | 어니스트 디커슨 | 
| 편집 | 새뮤얼 D. 폴라드 | 
| 제작사 | 40 에이커스 앤드 어 뮬 필름웍스 | 
| 배급사 | 유니버설 픽처스 | 
| 개봉일 | 1990년 8월 3일 | 
| 상영 시간 | 130분 | 
| 제작 국가 | 미국 | 
| 언어 | 영어 | 
| 예산 | 1000만 달러 | 
| 흥행 수익 | 1615만3600 달러 (미국, 소계) | 
| 출연 | |
| 주연 | 덴젤 워싱턴 스파이크 리 웨슬리 스나이프스 지안카를로 에스포지토 로빈 해리스 조이 리 빌 넌 존 터투로 딕 앤서니 윌리엄스 신다 윌리엄스 | 
2. 줄거리
뉴욕 브루클린에서 트럼펫 연주자 블리크는 성공한 재즈 밴드 '블리크 퀸텟'을 이끌고 있었다. 블리크는 여자친구 인디고가 있었지만, 색소폰 연주자 섀도와 맺어진 클라크와도 바람을 피웠다.[9] 
이 영화는 가공의 재즈 트럼펫 연주자 블리크 길리엄(덴젤 워싱턴)의 반생을 그리고 있다. 영화 속에서 블리크 길리엄은 자신의 트럼펫 연주자로서의 삶과 인간 관계를 좌우하는 사건들을 겪는다. 이 영화는 우정, 특권, 타인에 대한 성실함, 구원을 주안점으로 삼고 있다.[2] 또한 이 영화에서는 유명 뮤지션인 브랜포드 마살리스와 테렌스 블랜차드가 음악을 제공했다.
1969년 뉴욕 브루클린, 블릭 길리엄의 집에서 네 소년이 함께 야구를 하자고 했지만, 어머니는 트럼펫 레슨을 고집했다. 20년 후, 성인이 된 블릭은 밴드를 이끌며 트럼펫 연주를 했다. 밴드 매니저이자 어린 시절 친구인 자이언트는 블릭에게 섀도우가 돋보이는 것을 허용하지 말라고 조언했다.
블릭은 인디고와 클라크, 두 여자친구 사이에서 갈등했다. 인디고와 클라크는 블릭에게서 받은 비슷한 붉은 드레스를 입고 서로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블릭이 잠자리에서 두 사람의 이름을 바꿔 부르는 실수를 저지르자 둘은 분노하여 블릭을 떠났다.
자이언트는 거액의 도박 빚을 갚지 못해 고리대금업자들에게 얻어맞았다. 블릭은 클럽 주인에게 더 많은 돈을 요구했지만 거절당했고, 자이언트의 도박 빚 때문에 밴드는 위기를 맞았다. 블릭은 자이언트를 돕다가 얼굴을 다쳐 트럼펫 연주를 할 수 없게 되었다.
1년 후, 블릭은 섀도우와 클라크를 만나러 갔지만, 여전히 트럼펫 연주를 잘 할 수 없었다. 블릭은 인디고의 집으로 찾아가 자신의 삶을 구원해 달라고 간청했고, 인디고는 그를 받아들였다.
결혼 후, 블릭은 아들 마일스에게 트럼펫 연주를 가르쳤다. 마지막 장면에서 마일스는 친구들과 놀기 위해 밖으로 나가고 싶어 했고, 블릭은 아들이 친구들과 놀도록 허락했다.
3. 등장인물
참고로, 이 영화의 후반부에서 블리크 길리엄은 조이 리가 연기한 교사 인디고 다운스와 결혼하는데, 스파이크 리의 부모인 빌 리와 재클린도 이 영화와 마찬가지로 재즈 뮤지션과 교사이며, 빌 리는 인디고의 아버지로서 결혼식 장면에 등장한다.[3]
블리크 퀸텟의 멤버는 다음과 같다.
그 외의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3. 1. 주요 인물
|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 블리크 길리엄 | 덴젤 워싱턴 | 마츠모토 야스노리 | 
| 자이언트 | 스파이크 리 | 토리우미 카츠미 | 
| 섀도 헨더슨 | 웨슬리 스나이프스 | 아마다 마스오 | 
| 레프트 핸드 레이시 | 지안카를로 에스포지토 | 카세 야스유키 | 
| 버터빈 존스 | 로빈 해리스 | 호우키 카츠히사 | 
| 인디고 다운스 | 조이 리 | 사토 아카리 | 
| 보텀 해머 | 빌 넌 | 키무라 마사시 | 
| 모 플랫부쉬 | 존 터투로 | 시미즈 아키히코 | 
| 빅 스톱 윌리엄스 | 딕 앤서니 윌리엄스 | |
| 클라크 벤탄코트 | 신다 윌리엄스 | 카토 유키코 | 
| 조쉬 플랫부쉬 | 니콜라스 타투로 | |
| 리듬 존스 | 제프 테인 와츠 | |
| 매드록 | 새무엘 L. 잭슨 | 미즈우치 키요미츠 | 
| 로드 | 레너드 L. 토머스 | |
| 에기 | 찰리 머피 | 
3. 2. 블리크 퀸텟 멤버
Left Hand Lacy영어 (잔카를로 에스포시토 분): 피아노 연주자.Bottom Hammer영어 (빌 넌 분): 베이스 연주자.
Rhythm Jones영어 (제프 "테인" 와츠 분): 드럼 연주자.[1]
3. 3. 기타 인물
4. 제작
스파이크 리는 1989년 영화 ''똑바로 살아라''를 작업하면서 이 영화의 각본을 썼으며, 초고를 완성하는 데 15일이 걸렸다.[2] 주인공의 별명 "블리크"는 영화 음악을 작곡한 리의 아버지 빌 리에게서 따왔다.[2] 처음에 리는 실제 음악가를 기용할까 고려했지만, 브랜포드 마살리스 쿼텟에서 드럼을 연주한 제프 "테인" 와츠를 제외하고는 주로 배우를 기용했다.[2] "왼손 레이시"를 연기한 지안카를로 에스포지토는 실제 피아니스트였다.[2]
브랜포드 마살리스는 카메오로 출연했으며, 원래 색소폰 연주자 "섀도 헨더슨" 역으로 캐스팅되었지만, 리는 이 역할에 전문 배우 웨슬리 스나이프스를 선택했다.[2] 덴젤 워싱턴과 스나이프스는 모두 음악 장면에서 악기를 사실적으로 다루기 위해 마살리스와 트럼펫 연주자 테렌스 블랜차드에게 음악 훈련을 받았다.[2]
리는 또한 재즈 음악가에 대한 전형적인 관점에 도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영화에서 마약을 배제했다.[2] 영화의 원래 제목인 ''러브 수프림''은 색소폰 연주자 존 콜트레인의 1965년 앨범 "A Love Supreme"에서 영감을 얻었지만, 그의 미망인 앨리스 콜트레인이 영화의 노골적인 내용 때문에 허가를 철회하면서 변경되었다.[2] 제목은 최종적으로 축약되기 전인 1990년 5월까지 ''Mo' Better Blues 변주곡''으로 잠정적으로 변경되었다.[2]
주요 촬영은 1989년 9월 25일부터 1989년 12월 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제작비는 1000만달러였다.[2] 영화에서 버터빈 존스 역을 맡았고 이전에 리와 ''똑바로 살아라''에서 함께 작업했던 배우 겸 코미디언 로빈 해리스는 영화 개봉 약 6개월 전인 1990년 3월 18일에 사망했다.[2]
5. 음악
이 영화의 사운드트랙은 "브랜포드 마살리스 4중주단(The Branford Marsalis Quartet) 피처링 테렌스 블랜차드(Terence Blanchard)"가 연주했으며, 타이틀 곡과 대부분의 사운드트랙은 빌 리가 작곡하고 프로듀싱했다. 1991년 사운드트랙 앨범은 소울 트레인 뮤직 어워드에서 최고의 재즈 앨범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2] 델피요 마살리스(Delfeayo Marsalis), 브랜포드 마살리스(Branford Marsalis)의 남동생은 영화의 대부분의 녹음을 프로듀싱하는 데 빌 리를 도왔다고 전해지지만 그의 이름은 기재되지 않았다.
6. 논란
반명예훼손연맹과 브네이 브리스 등 여러 유대계 단체는 유대계 나이트클럽 소유주인 모 플랫부시와 조시 플랫부시 형제가 흑인 음악가들을 착취하고 고소 협박을 일삼는 인물로 묘사된 것에 대해, 이는 낡은 반유대주의 고정 관념을 반영한 것이라며 항의했다.[10][11][12] 반명예훼손 연맹(ADL)은 "인종적 고정관념과 편견을 깨기 위해 노력하여 성공을 거둔 스파이크 리가 자신이 혐오한다고 하는 것과 같은 종류의 전술을 사용한 것에 실망했다"고 밝혔다.[3]
스파이크 리는 ''뉴욕 타임스''에 기고한 사설에서[4], 영화 속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대한 오랜 부정적 묘사를 감안할 때 "반유대주의 혐의에 대한 이중 잣대"가 적용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모든 흑인이 포주, 살인자, 매춘부, 죄수, 강간범 또는 마약 중독자는 아니지만, 할리우드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에게 이러한 역할을 쓰는 것을 막지 못했습니다."라고 말했다. 리는 플랫부시 형제가 전형적인 인물일지라도, 그들의 "10분 분량의 화면 시간"은 "100년의 할리우드 영화... [그리고] 수많은 인종차별주의적, 반유대주의적 영화 제작자들"과 비교하면 미미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성공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예술가로서의 자신의 지위가 적대감과 불공정한 대우로 이어졌다며, "나에게 다른 영화 제작 동료들보다 더 높은 도덕적 기준을 적용하지 마세요... 이제 젊은 흑인 영화 제작자들이 영화 산업에서 부상하면서 갑자기 고정관념이 큰 문제가 되었습니다... 이제 ''내'' 영화가 아니라 ''내가'' 비판을 받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덧붙였다.
리는 플랫부시 형제 묘사에 대해 사과를 거부하며, "저는 제 캐릭터인 모와 조시 플랫부시를 포함한 모든 제 작품을 지지합니다... 비평가들이 반유대주의 혐의를 피하기 위해 제가 쓰는 모든 유대인 캐릭터가 모범 시민이어야 하고, 단 한 명도 악당, 사기꾼 또는 악당이 될 수 없으며, 유대인이 연예 산업 역사에서 흑인 예술가를 착취한 적이 없다고 말한다면, 그것은 비현실적이고 불공평합니다."라고 말했다.[5]
7. 한국의 관점
이 영화는 1990년대 미국 사회의 인종 갈등과 문화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재즈 음악이라는 흑인 문화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소수 문화와 주류 문화 간의 갈등과 화합, 그리고 개인의 정체성 문제를 다루는 점은 한국 사회의 다문화 현상과 관련하여 생각해 볼 지점을 제공한다.
반명예훼손연맹과 브네이 브리스 등 여러 유대계 단체에서 유대계 나이트클럽 소유주로 설정된 모 플랫부시와 조시 플랫부시가 흑인 음악가들을 착취하고 고소 협박을 남발하는 인물로 묘사된 것에 대해, 이는 낡은 반유대주의 고정 관념을 반영한 것이라며 항의하였다.[10][11][12] 영화 속 유대인 캐릭터 묘사와 관련된 논란은 한국 사회에서도 소수 집단에 대한 묘사와 표현의 자유, 그리고 사회적 책임 간의 균형 문제를 고민하게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문화 다양성과 포용성을 강조하는 정당으로서, 이 영화가 제기하는 문제들에 대해 사회적 공론화와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참조
[1] 
뉴스
 
MOVIE REVIEW : 'Blues' Trumpets Lee's Strengths, Weaknesses
 
https://www.latimes.[...] 
2010-11-21
 
[2] 
웹사이트
 
"Mo' Better Blues"
 
https://catalog.afi.[...] 
2024-01-16
 
[3] 
뉴스
 
Spike Lee's Jews and the Passage From Benign Cliche into Bigotry
 
https://query.nytime[...] 
1990-08-16
 
[4] 
간행물
 
The Angriest Auteur
 
http://nymag.com/mov[...] 
2006-08-13
 
[5] 
뉴스
 
I Am Not an Anti-Semite
 
http://partners.nyti[...] 
1990-08-22
 
[6] 
IndieWire
 
‘Mo’ Better Blues’ at 30: Spike Lee’s Fourth Joint, as Told by Female Leads Cynda Williams and Joie Lee
 
https://www.indiewir[...] 
2020-09-24
 
[7] 
웹사이트
 
Mo' Better Blues
 
https://www.boxoffic[...] 
Amazon.com
 
2012-03-05
 
[8] 
웹인용
 
"[볼만한 TV영화/19일]"
 
https://www.donga.co[...] 
2024-07-15
 
[9] 
웹인용
 
Mo' Better Blues
 
https://www.rollings[...] 
2024-07-15
 
[10] 
뉴스
 
Critic's Notebook; Spike Lee's Jews and the Passage From Benign Cliche Into Bigotry
 
https://www.nytimes.[...] 
2024-07-15
 
[11] 
웹인용
 
FROM SPIKE LEE, SOME UNFORTUNATE STEREOTYPING
 
https://www.chicagot[...] 
2024-07-15
 
[12] 
웹인용
 
SPIKE LEE’S NEW MOVIE ATTACKED AS ANTI-SEMITIC
 
https://www.orlandos[...] 
2024-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